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가 열풍이다. 다수의 연예인들도 동참했다.
지난 3월 말 오픈AI가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을 내놓은 후, 이 모델로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을 모방해 제작한 이미지들이 쏟아지고 있다.
세계적인 지브리 열풍에 국내 연예인들도 동참했다. 가수 솔지, 설하윤, 모델 송해나, 코미디언 이은형, 맹승지, 배우 배우희 등 많은 연예인들이 자신의 SNS에 챗GPT를 통해 생성한 ‘지브리 이미지’를 업로드했다. 일반 대중들의 참여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오픈AI가 스튜디오 지브리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거세지고 있다.
로펌 ‘프라이어 캐시먼’의 파트너 변호사인 조시 와이겐스버그는 AP통신에 “오픈AI의 AI 모델이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감독의 작품으로 훈련을 받았는 지가 문제”라며, “그와 맞물려 그런 훈련을 시킬 수 있도록 라이선스나 승인을 받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만약 오픈AI가 동의나 보상 없이 지브리 스타일을 사용했다면 이는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특정 프레임을 정지시켜 그 특징들을 분석한 뒤, 생성된 AI 이미지에서 유사한 요소가 발견된다면 이는 저작권 침해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미야자키 감독의 영화를 보고 자랐으며 다른 AI 생성형 이미지 업체를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벌이고 있는 미술가 칼라 오티즈는 이러한 세태를 강력히 비판했다.
오티즈는 “오픈AI와 같은 회사들이 예술가들의 작품과 그들의 생계를 신경 쓰지 않는다”며, “이것은 지브리의 브랜딩과 명성을 이용해 오픈AI 제품을 광고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를 “모욕이며 착취”라고 표현했다.
많은 대중들은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이 사측에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출시한 기능이라 생각해 왔다. 이에 해당 저작권에 대한 오픈AI의 명확한 입장 발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